SD-WAN이란?
Software-defined WAN (SD-WAN) technology applies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concepts for the purpose of distributing network traffic throughout a wide area network (WAN).
SD-WANs work automatically, using predefined policie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route for application traffic passing from branch offices to headquarters, the cloud, and the Internet. There is rarely any need to configure your routers manually in branch locations.
A centralized controller manages the SD-WAN, sending policy information to all connected devices. Information technology (IT) teams can program network edge devices remotely, using low-touch or zero-touch provisioning.

SD-WAN 사용 사례
SD-WAN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송에 구애받지 않는 가상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이는 인터넷 광대역, 광섬유, LTE(Long-Term Evolution), 무선 또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와 같은 기본 공용 또는 사설 WAN 연결을 추상화하여 달성됩니다. SD-WAN 오버레이를 통해 조직은 기존 WAN 링크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SD-WAN 기술은 네트워크 제어를 중앙 집중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기존 링크에 대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트래픽 관리를 제공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SD-WAN 사용 사례는 다음 범주로 나뉩니다.
- 지리적 확장 - 기업이 새로운 지리적 지역으로 확장하거나 인수 합병을 실행할 때 SD-WAN을 활용하여 새로운 위치에서 기존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여 하나의 통합 정책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신규 및 기존 위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WAN 용량 활용- 공용 및 사설 네트워크 서비스를 결합하는 이중 연결 전략을 사용합니다. SD-WAN은 공용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여 일부 프라이빗 네트워크 트래픽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업무상 중요하거나 짧은 지연 시간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프라이빗 네트워크 용량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WAN 복원력 향상- 동일한 사이트에 대한 여러 네트워크 연결이 있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환경을 만들고 액티브/액티브 구성으로 운영합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서비스 간에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지만 한 연결이 끊어지면 트래픽이 다른 서비스로 장애 조치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SD-WAN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라우팅을 지원하므로 각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에 배포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광역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D-WAN Benefits
Uncoupling WAN architecture from high-cost, demanding MPLS setups is one of the greatest benefits that SD-WAN can offer. MPLS is notoriously expensive – far more so than typical internet connectivity – with average prices topping 4 figures per month.
The eye-watering price is a result of the very limited number of vendors that provide MPLS, and the difficulty for new competitors to break into the space.
The other reason that organizations may be looking to avoid or move away from MLPS is cloud transformation.
As organizations increasingly rely on cloud-based resources, MPLS’ hub and spoke models can begin to introduce inefficiencies. Since all MPLS traffic must be routed via the central headquarters, these hub requirements can become choke points for data otherwise flowing between a cloud-based database and the end user requesting it.
SD-WAN avoids much of this by removing the necessity of MPLS providers.
중앙 집중식 관리
Rather than routing all traffic to a central point, SD-WANs instead apply a centralized control system. This allows a Security Operations Center (SOC) to manage networking policies across the entirety of an organization’s networks.
- This ensures consistent security rules, traffic prioritization, and performance optimizations, reducing the complexity of manually configuring each site individually.
Greater Cost Efficiency
Unlike traditional WANs that rely on expensive MPLS circuits, SD-WAN can utilize a far broader wealth of protocols and approaches like broadband, LTE, and other cost-effective connections.
- This can reduce infrastructure cost while maintaining robust connectivity.
Enhanced Flexibility and Scalability
Since SD-WAN is software-driven, businesses can quickly scale their network by adding new locations without extensive hardware installations.
- Since there’s no underlying reliance on a single MPLS provider, either, SD-WAN is essentially transport-agnostic, able to route all types of traffic that an organization may need.
- This flexibility also refers to the cloud-based management tools that allow IT teams to configure and deploy network changes remotely.
Improved Performance
SD-WAN continuously monitors network conditions and dynamically routes traffic based on real-time performance metrics.
- This could include switching critical applications to the best available connection, or modifying traffic routes according to their contexts like issuing greater resources for video streaming at a time when many employees are jumping on calls.
Reliability
Traditional WANs depend on a single connection, leading to failures if that link goes down. SD-WAN, however, leverages multiple connections simultaneously, automatically rerouting traffic if one link fails.
SD-WAN 아키텍처
SD-WAN은 두 개의 개별 부분으로 구성된 추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 중앙 위치에서 운영되는 컨트롤 플레인으로, IT 직원이 온프레미스에 있지 않고도 원격으로 WAN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A forwarding plane—트래픽 플로우를 관리하고, 컨트롤 플레인에서 설정한 정책에 따라 네트워크 리소스를 동적으로 구성합니다
SD-WAN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
- Edge-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또는 지사에 배포된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됩니다.
- 컨트롤러- 중앙 집중식 관리를 제공하고 운영자가 네트워크를 시각화 및 모니터링하고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Orchestrator- 가상화된 네트워크 관리 구성 요소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컨트롤러에서 정의한 대로 정책 및 프로토콜을 적용합니다.
SD-WAN 개념
SD-WAN 구현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합니다.
컨트롤러
SD-WAN 배포를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컨트롤러입니다. 컨트롤러는 보안 및 라우팅 정책을 적용하고, 가상 오버레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고, 보고서 및 경고를 제공합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아키텍처의 핵심 구성 요소인 가상 오버레이(virtual overlay), 중앙 집중식 컨트롤러(centralized controller), 링크 추상화(link abstraction)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광역 네트워크 (완)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사용하여 지리적으로 분리된 시설 또는 여러 LAN을 연결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가상 네트워크 기능 (VNFs)
자사 또는 타사 네트워크 기능(예: 캐싱 작업 및 방화벽) VNF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어플라이언스의 양을 줄이거나 유연성과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상용 대역폭
SD-WAN 기술은 여러 대역폭 연결을 활용하고 특정 링크에 트래픽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많은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값비싼 MPLS 회선에서 저렴한 상용 대역폭 연결로 트래픽을 이동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라스트 마일 기술
SD-WAN 기술은 둘 이상의 전송 링크를 사용하거나 여러 링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기존의 라스트 마일 연결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WAN과 SD-WAN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WAN is a staple of corporate infrastructure: to easily explain this network layout, let’s start at the bottom of the network chain.
- Connecting local devices is a local area network (LAN), which relies on a router to link each device and ferry network packets to their intended destination.
- LAN networks are limited to a range of up to 2 km, however — so while they’re useful for individual offices, they can’t connect one branch to another.
Enter the WAN
This is where a WAN steps in: while each office has their own LAN, these LANs are connected to one national or global WAN.
- When first scaling this up, organizations have typically decided on a similar approach to LANs: by implementing physical router and manual port configurations.
- Also, they generally don’t rely on the same packet forwarding process that a LAN does.
When sending data from a LAN to a public network:
- The router first determines where the packet needs to get to according to its routing table, and the packet’s own headers
- The device consults its internal routing table, and – should the receiving device not be found in that LAN – it forwards the packet to the next network.
- This network’s router then essentially repeats the same process, and on and on until the packet finally arrives at its intended network, and delivered to the IP address listed in the header.
WAN Scalability and Latency Challenges
- Office branches can be numerous and very far apart.
- It’s easy to see how relying solely on this approach could introduce an unmanageable amount of latency.
The Role of MPLS
To beat thi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was used:
- MPLS directs WAN traffic along predetermined paths using specialized routers.
- MPLS is the high-speed railway of network infrastructure: it needs specific routers and dedicated leased lines — all of which add to the cost of setting up a WAN.
However:
- MPLS comes with drawbacks.
- Not all WANs require its state-of-the-art setups and high costs.
SD-WAN vs MPLS
Traditionally, the control plane and data plane were closely integrated within proprietary hardware appliances. SD-WANs decouple these layers by shifting the control plane to a software-based system, allowing routing decisions to be made in software running on standard, non-proprietary hardware instead of specialized network routers.
Put concisely, SD-WAN connects LANs using software.
- Each individual network has a SD-WAN appliance installed, which individually manages all incoming and outgoing traffic.
- When traffic reaches an SD-WAN appliance, it identifies the type of application data and directs it to the appropriate destination based on predefined policies, as well as the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of various network connections.
- To ensure adequate in-transit security, most SD-WAN setups also encrypt the data being transferred
기존 WAN과 SD-WAN 솔루션의 주요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완 | SD-WAN |
부하 분산 및 재해 복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배포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 Load balancing and disaster recovery built in with fast or zero-touch 배포 |
구성 변경에는 시간이 걸리고 수동 구성 작업이 필요하므로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실시간 구성 변경, 인적 오류 방지를 위한 자동화 |
Requires edge 디바이스 to be configured one by, does not allow blanket application of policies | 가상 오버레이 사용 - 많은 수의 엣지 디바이스에서 정책을 즉시 복제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연결 옵션으로 제한—레거시 MPLS 회선 | 여러 연결 옵션(MPLS 및 SDN 매니지드 광대역 회선)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일 IP 백본에서 잘 작동하지만 음성 및 비디오와 같은 높은 처리량 워크로드와 공존할 수 없는 VPN에 의존합니다. |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트래픽을 조정할 수 있어 가장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수동 튜닝 필요 | 네트워크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WAN을 동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SD-WAN 모범 사례
공용 인터넷을 선택적으로 사용
SD-WAN은 모든 미들 마일 전송에 공용 인터넷 연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비용 효율적일 수 있지만 권장되지는 않습니다. 어떤 링크 트래픽이 통과할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보안 및 성능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능할 때마다, 특히 민감한 통신이나 미션 크리티컬 통신의 경우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SD-WAN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SD-WAN 제공자는 자체 보안 글로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중요하지 않고 중요하지 않은 워크로드 또는 개인 네트워크가 다운된 경우 장애 조치(failover) 시나리오를 위해 공용 인터넷 용량을 예약합니다.
이해 관계자에게 배포 프로세스 전달
SD-WAN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이해 관계자에게 배포 프로세스에 대해 교육하고 SD-WAN이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에 추가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경영진은 SD-WAN을 기존 네트워크 기술의 단순한 대체품으로 간주해서는 안 됩니다.
기존 기술을 유지하고 새로운 SD-WAN 투자와 통합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십시오. 기술적 배경과 배포 방법을 더 잘 이해하면 더 나은 리더십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SD-WAN 서비스 테스트
SD-WAN 솔루션은 자동화 및 제로 터치 배포를 제공할 수 있지만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테스트는 간과되는 경우가 많지만 SD-WAN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구현 전, 구현 중, 구현 후에 광범위하게 테스트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SD-WAN 프로젝트에는 QoS(서비스 품질), 확장성, 가용성 및 페일오버, 관리 툴의 안정성에 중점을 둔 3-6개월 이상의 테스트가 포함됩니다.
SD-WAN 보안 및 SASE
SD-WAN 모델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에서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보안 및 액세스 제어를 포함하지 않는 분산 네트워크 패브릭을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rtner는 SASE(보안 접근 서비스 엣지)(SASE)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보안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SASE는 WAN 기능을 다음과 같은 보안 기능과 결합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을 위해 구축된 이러한 보안 기능의 조합을 통해 SD-WAN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SASE 솔루션은 모바일 사용자와 지사에 안전한 연결성과 일관된 보안을 제공합니다.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중앙 집중식 보기를 제공하여 관리자와 보안 팀이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SD-WAN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고, 액세스 및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여러 지리적 위치 및 여러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걸쳐 일관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SD-WAN with 체크 포인트
Check Point’s Quantum SD-WAN explicitly addresses the security shortcomings of WAN by integrating robust threat prevention directly into its architecture. Deployed at the branch level as a software blade within Quantum Security Gateways, it offers comprehensive protection against:
- Zero day exploits
- Phishing attempts
- Ransomware attacks
This integration ensures that branch offices maintain the highest security standards, while still ensuring the highest network performance.
Beyond security, Quantum SD-WAN enhances connectivity by optimizing traffic flow for different apps: with inbuilt settings for over 10,000 enterprise applications, it’s able to quickly deliver optimized performance. The solution continuously monitors internet connectivity metrics, such as:
- Latency
- Jitter
- 패킷 손실
So it can dynamically select the best path for traffic.
Sub-second failover capabilities are offered to ensure uninterrupted services, even during times of connection instability. Marry security and performance with Quantum SD-WAN and explore the comprehensive solution with a demo.
If you’re looking for a more complete overhaul toward SD-WAN, on the other hand, check out Checkpoint Harmony SASE: its full-mesh architecture offers a global private backbone that implements zero-trust security at every connection.